투자해서 여행가기

투자알못과 AI가 함께하는 퀀트투자 (1) - PER 낮은 주식 10개 고르기 본문

투자/퀀트투자

투자알못과 AI가 함께하는 퀀트투자 (1) - PER 낮은 주식 10개 고르기

떠돌이봉식 2025. 1. 26. 17:42

 

2025.01.26 - [투자/퀀트투자] - 투자알못의 퀀트투자 도전기

 

투자알못의 퀀트투자 도전기

주식이라고 하면 늘 '감'으로 하는 투자만 생각했다. 차트 보고 뉴스 보고... 그러다 까먹고, 또 보고. 이게 정말 맞나 싶었는데 우연히 '퀀트투자'라는 걸 알게 됐다. 뭔가 어려워 보이는데, 알고

bongsik-travel.tistory.com

 

 

퀀트투자 도전! 이라고 했지만 아는게 정말 1도 없기 때문에 AI의 도움을 좀 받아볼거다

내 원픽은 perplexity.ai 🖤 가끔 속터지긴하는데 이 정도면 알잘딱깔센이라고 생각..

 

perplexity perplexity.ai

 

 

첫 퀀트 전략을 어떻게 짜면 좋을지 물어봤더니 

가장 기본적인 전략부터 시작해볼까요?

첫 전략은 정말 단순하게 가요!

  • PER 낮은 주식 10개 고르기
  • 같은 비중으로 투자하기 (예: 100만원이면 한 종목당 10만원)
  • 3개월마다 한 번씩 점검하고 조정하기

 

라고 한다.

 

그래서 PER 낮은 주식 10개를 골라달라고 했다

 

 

PER 다시 한번 복습 🔥

  • 쉽게 말해 '주가가 싼지 비싼지' 알려주는 지표
  • 현재 주가 ÷ 1주당 순이익
  • PER이 10이면? 10년치 순이익이 현재 주가랑 같다는 뜻
  • 보통 PER 낮을수록 저평가됐다고 봄 (=싸다)

 

PER 10의 의미를 쉽게 설명하면

  • 회사가 1년에 100원을 벌면, 주가는 1,000원이라는 뜻
  • 즉, 내가 이 주식 1,000원에 샀다면
  • 회사가 매년 100원씩 번다는 거예요
  • 그래서 10년 동안 벌면 내가 투자한 돈(1,000원)과 같아져요

실제 예시로 보면

  • 회사 A의 주가가 50,000원이고 PER이 10이라면?
  • 1년 순이익이 5,000원이라는 뜻
  • 10년 동안 버는 돈 = 5,000원 × 10년 = 50,000원
  • 현재 주가와 같아지네요!

그럼 PER은 낮을수록 좋은거죠?

  • PER 5면? 5년만에 투자금 번다는 뜻
  • PER 20이면? 20년 걸린다는 뜻
  • 단순하게 보면 PER이 낮을수록 좋아 보이죠?

근데 주의할 점!

  • PER 너무 낮으면(3~4 이하) 뭔가 문제 있을 수도
  • 업종마다 평균 PER이 달라요
  • 일시적으로 순이익이 많이 난 경우일 수도 있어요

 

 

🙋🏻‍♀️ : "PER 낮은 한국주식 10개, 미국주식 10개 알려줘"

 

한국 저PER 주식 Top 10

한국 주식시장에서 주목할만한 저PER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GS (PER 2.67배)
  • 현대차 (PER 3.99배)
  • 하림지주 (PER 6.69배)
  • 신세계 (PER 6.06배)
  • 한국앤컴퍼니 (PER 7.97배)
  • KB금융 (PER 0.53배)
  • 신한지주 (PER 0.48배)
  • 하나금융지주 (PER 0.45배)
  • 우리금융지주 (PER 0.37배)
  • 기업은행 (PER 0.36배)


미국 저PER 주식 Top 10

미국 S&P 500에서 가장 낮은 PER을 보유한 종목들입니다:

  • APA Corporation (PER 3.31배)
  • FMC Corp (PER 4.20배)
  • General Motors Company (PER 5.48배)
  • Everest Group Ltd (PER 5.68배)
  • Arch Capital Group Ltd (PER 6.14배)
    Devon Energy Corp (PER 6.19배)
  • Aptiv PLC (PER 6.73배)
  • Celanese Corp (PER 6.87배)
  • Cincinnati Financial Corp (PER 7.32배)
  • PulteGroup Inc (PER 7.93배)

 

자, 일단 리스트업은 했는데 이걸 실제로 구매 후 결과 확인 하면 다음 글은 몇 개월 뒤에나 쓸 수 있다...

그래서 옛날 데이터로 테스트 해보기로 했다.

 

 

🙋🏻‍♀️ : "PER 낮은 주식 10개 고르기해서 샀다고 치면 적정투자기간은 어느정도일까?"

 

퀀트투자에서 PER 기반 가치투자는 보통 중장기 관점으로 접근하는 게 좋아요.

권장 투자기간

  • 최소 6개월~1년
  • 이상적으로는 1~2년
  • 3년 이상 보유해도 좋음

왜 이 정도 기간이 필요할까요?

  • PER이 낮다는 건 지금 저평가됐다는 뜻
  • 시장이 이 가치를 알아보는 데 시간이 걸려요
  • 단기간에는 오히려 더 떨어질 수도 있음
  • 기업 가치가 시장에 반영되려면 시간이 필요해요

중간점검은 이렇게

  • 3개월마다 한 번씩 포트폴리오 점검
  • PER 많이 올랐다면 다른 종목으로 교체 고려
  • 기업에 큰 문제 생겼다면 빨리 빼는 게 좋아요

 

 

뭔가 코로나 때문에 차트가 혼란할 것 같긴 하지만...😂

3년 전인 2022년 1월에 PER 낮은 종목을 샀다면 어떻게 됐을지 확인해봐야겠다

 

일단 단순하게 낮은 순서로 종목 네개씩만 차트를 살펴보자

 

 

한국주식

 

KB금융차트우리기술투자차트
(왼쪽)KB금융, (오른쪽)우리기술투자

 

 

한진주식 한진 한진그래프서희건설 서희건설주식 서희건설그래프
(왼쪽)한진, (오른쪽)서희건설

 

 

 

미국주식

텍사트 인스트루먼트_텍사트 인스트루먼트 그래프_텍사트 인스트루먼트 차트록히드 마틴_록히드 마틴 차트_록히드 마틴 주식_록히드 마틴 그래프
(왼쪽)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오른쪽) 록히드 마틴

 

S&P글로벌_S&P글로벌 차트_S&P글로벌 그래프듀크 에너지_듀크 에너지 차트_듀크 에너지 그래프
(왼쪽) S&P 글로벌, (오른쪽) 듀크 에너지

 

 

 

2022년 자료를 찾으면서 알게 된 사실은 밑에 간단히 적어놓겠다

더보기

2022년 1월 당시 미국 주식시장의 높은 밸류에이션과 이후 하락의 주요 원인

 

금리 인상 압박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연준의 통화정책 긴축 기대감이 급격히 확대
2022년 초 시장은 3회에서 5회로 금리인상 전망을 상향 조정


거시경제적 요인
인플레이션 상승 (9%까지 상승)
경기 둔화 우려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차질 지속


시장 영향
S&P 500 지수는 2022년 1월에만 5.26% 하락
1월 중 최대 11.40%까지 하락하며 2009년 이후 최악의 1월 실적 기록
변동성이 크게 증가 (일일 평균 변동폭 2.06%)

 

사실 잘 모르겠고 변수가 매우매우 많다는 절망적인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2022년에 PER만 보고 샀다면? ➡️ 판매만 잘 했다면 괜찮을지도? 근데 다른 변수들도 많이 개입됐을거라 뭐라 말하기가 좀 그렇다

+ PER이 너무 낮은 것(3 이하)은 위험신호일 수 있어요.. 라는 문구를 좀 늦게 봐버림🥲 

 

 

여기서 좀 더 발전시켜서 어떤 조건을 추가해보면 좋을지 나 대신 AI가 고민해봤다

 

  • PER 낮고 + ROE 10% 이상
  • 부채비율 200% 이하인 기업만
  • 시가총액 상위 200위 안에 드는 기업으로 제한

 

 

이렇게 만들어진 첫번째 전략!

 

필터 1

  • PER 15 이하
  • 부채비율 150% 이하
  • 시가총액 1000억 이상

필터 2

  • ROE 10% 이상
  • 최근 3년간 적자 없는 기업
  • 배당수익률 2% 이상

최종 선택

  • 위 조건 만족하는 기업 중 10개 선택
  • 3개월마다 포트폴리오 점검
  • 조건 벗어나면 교체

 

 

 

일단 힘드니까 여기까지...